북극항로·첨단 모빌리티 기술 집중 소개
100여 기관 참여… 해양산업 역량 집결

부산에서 해양모빌리티와 안전 기술을 집약한 ‘2025 대한민국 해양모빌리티·안전 엑스포’가 오는 25일 개최된다.[사진=부산시](포인트경제)
부산에서 해양모빌리티와 안전 기술을 집약한 ‘2025 대한민국 해양모빌리티·안전 엑스포’가 오는 25일 개최된다.[사진=부산시](포인트경제)

[포인트경제] 부산에서 해양모빌리티와 안전 기술을 집약한 ‘2025 대한민국 해양모빌리티·안전 엑스포’가 오는 25일 개막한다. 올해는 북극항로를 핵심 주제로 전시 규모를 대폭 확대했다.

부산시와 해양수산부는 오는 25일부터 27일까지 3일간 벡스코 제1전시장에서 ‘2025 대한민국 해양모빌리티·안전 엑스포’를 공동 개최한다.

지난 2015년 시작해 8회째를 맞은 이번 행사는 ‘북극항로와 해양 밸류체인’을 주제로 마련됐다.

올해 엑스포는 △해양모빌리티·안전 및 사고예방 홍보전 △해양모빌리티·안전 기술·기자재 산업전 △해양 체험 프로그램과 함께 △북극항로 특별관 △수출상담회 △기술·제품 설명회 △콘퍼런스 △어린이 미래해양 골든벨 등으로 구성해 전년도보다 전시 규모를 두 배로 확대했다.

북극항로 특별관에서는 △북극항로와 탐험의 역사 △항해 선박·기자재 △아라온호 탐험으로 기록된 생태·환경 자료 등을 선보인다. 또한 자율운항선박, 해양 사이버 안전 기술, 인공지능(AI)을 활용한 어선 안전 기술 등 미래형 해양모빌리티 기술도 소개된다.

부대행사로는 우주항공청, 한화시스템, 극지연구소 등이 참여하는 모빌리티 콘퍼런스와 해양 가상현실(VR) 체험관, 해양안전버스, 구명조끼 착용 및 심폐소생술(CPR) 체험존 등이 운영된다. 어린이를 위한 미래해양 골든벨 행사도 마련된다.

참여 기관은 지난해 60여 개에서 올해 102개로 대폭 늘었다. 국립한국해양대학교와 우주항공청 등이 신규 참여해 전시의 폭을 넓혔다.

특히 부산시는 ‘글로벌 해양 허브 도시’ 전략과 맞물려 북극항로가 아시아와 유럽을 잇는 새로운 물류·무역 요충지로 부상하고 있다며, 특별관 운영을 통해 관련 산업의 잠재력을 집중 조명할 계획이다.

박근록 부산시 해양농수산국장은 “이번 엑스포는 부산이 글로벌 해양 허브 도시로 도약하는 데 중요한 의미가 있다”며 “최신 해양모빌리티 기술과 안전 기자재를 한자리에서 볼 수 있는 기회인 만큼 많은 관심과 참여를 바란다”고 전했다.

포인트경제 정대영 기자

저작권자 © 포인트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