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권 보호·민원 기준 마련 요구 확산

지난 24일 부산광역시의회 대회의실에서 '교육공동체를 위한 교사학부모 관계 개선 방안 토론회'가 진행되고 있다. [사진=정대영 기자](포인트경제)
지난 24일 부산광역시의회 대회의실에서 '교육공동체를 위한 교사학부모 관계 개선 방안 토론회'가 진행되고 있다. [사진=정대영 기자](포인트경제)

[포인트경제] 교육 현장의 갈등이 개인 문제가 아니라 제도 부재에서 비롯된다는 지적이 부산 토론회에서 나왔다.

24일 부산광역시의회 대회의실에서 열린 ‘교육공동체를 위한 교사·학부모 관계 개선 방안 토론회’에서는 교사와 학부모 갈등을 구조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제안이 제시됐다.

토론회에는 교사·학부모 단체 관계자, 교육 전문가, 시의회와 교육청 관계자, 시민 등이 참석해 변화한 교육 환경과 갈등 대응 정책을 공유했다.

발제자로 나선 윤민종 부산대학교 교육학과 교수는 ‘교사·학부모 관계 갈등 해소 및 법제화 방향’을 발표하며 감정 중심 대응이 아닌 법·제도적 장치 확립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지정토론은 조관홍 전 동아대학교 교수가 좌장을 맡았고, 최윤홍 전 부산광역시교육청 부교육감, 나희정 부산광역시 학교학부모회 총연합회 회장, 김화선 전 금정중학교 교장이 패널로 참여했다.

최윤홍 전 부교육감은 교사와 학부모 갈등을 “학교 시스템 부재에서 비롯된 문제”로 규정했다. 그는 “교사가 행복해야 학생도 행복하고, 학생이 행복해야 부모도 행복하다”며 교육 생태계 원칙을 짚었다. 이어 “교사의 행복은 학생 행복의 필수 조건”이라며 교권 보호 강화와 학부모 민원 처리 기준 표준화, 소통 창구 일원화 등 실질적인 제도 개선을 요구했다.

토론회 참석자들은 “교육공동체 갈등을 개인의 희생이나 헌신에 의존해선 안 된다”며 제도적 전환의 필요성에 공감했다.

조관홍 전 동아대 교수는 “교사·학부모 갈등 문제는 단일 세미나로 해결될 수 없는 긴 과제”라며 “오늘 논의를 바탕으로 앞으로도 지속적인 고민과 연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포인트경제 정대영 기자

저작권자 © 포인트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