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 성인보다 부작용 발생률 높아 주의 필요"
[포인트경제]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최근 청소년 비만치료제의 사용 연령 확대에 따라, 비만 환자만이 해당 치료제를 사용해야 한다고 강력히 당부하며 부작용 및 오남용에 대한 주의를 촉구했다.

14일 발표된 식약처의 보도자료에 따르면, 최근 GLP-1 계열 비만치료제의 투여 연령이 12세 이상 청소년으로 확대되면서, 비만치료제가 미용 목적으로 오남용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GLP-1 계열은 포도당 의존적인 인슐린 분비 증가, 글루카곤 분비 저해, 허기 지연 및 체중 감소효과가 있는 글루카곤 유사 펩타이드(GLP-1) 성분 치료제다.
청소년, 성인보다 부작용 발생률 높아 주의 필요
식약처는 청소년의 경우 성인에 비해 담석증 등 특정 부작용 발생률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어 더욱 신중한 사용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비만치료제는 전문의약품으로, 반드시 의사의 처방을 받아 허가받은 범위 내에서만 사용해야 하며, 특히 체질량지수(BMI) 등 비만 기준을 충족하는 환자에게만 투여해야 함을 재차 강조했다.
임상시험 결과에 따르면 12세 이상 청소년 비만환자가 정상 투여하던 성인에 비해 담석증, 담낭염, 저혈압 등 부작용 발생률이 높았으며, 청소년 비만환자가 허가 범위 내에서 사용하더라도 구토, 설사, 복통 등 위장관계 이상사례를 포함한 다양한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다.
식약처는 청소년 성별·연령에 따른 비만 판정기준치(IOTF 기준) 등 자세한 안전 정보를 담은 리플릿을 전국 보건소, 의료기관 및 약사회 등 관련 단체에 배포해 올바른 사용을 위한 홍보를 강화할 계획이다.

식약처 관계자는 "청소년 비만치료제는 비만 환자의 건강 증진을 위해 도입되었으나, 비만이 아닌 청소년이 체중 감량 목적으로 사용할 경우 심각한 건강상의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며, "반드시 의료 전문가와 상담하고, 허가된 투여 기준 및 용법·용량을 철저히 준수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한편, 정부는 비만치료제 사용 중 예상치 못한 부작용이 발생한 경우, 한국의약품안전관리원의 의약품 부작용 보고 및 피해구제 제도를 이용할 수 있다고 안내했다.
포인트경제 이민준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