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택 매매시장, 상승률 2배 확대...'한강벨트' 강세
전월세 시장, 매물 부족 속 오름세 지속

[포인트경제] 지난달 서울 집값 오름폭이 2배 이상 크게 뛰었다.

2025년 10월 전국주택가격동향 /한국부동산원

한국부동산원이 17일 발표한 '10월 전국주택가격동향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달 서울 주택종합 매매가격이 전월 대비 1.19% 상승하며 7년 1개월 만에 가장 큰 폭의 오름세를 기록했다. 이는 정부의 강력한 부동산 규제 대책에도 불구하고 규제 전후 '막차 매수세'가 집중된 결과로 분석된다.

지난달 서울 주택종합 매매가격 상승률은 전월(0.58%) 대비 두 배 이상 확대되며 2018년 9월(1.25% 상승) 이후 최고치다. 특히 서울의 아파트 매매가격지수는 1.43% 상승해, 가격 급등기였던 6월 수준에 육박할 정도로 가파른 오름세를 보였다.

재건축 및 학군지 등 정주 여건이 우수한 선호 단지를 중심으로 매수 문의가 집중되었으며, 정부의 10·15 부동산 종합대책 발표 전후로 규제를 피하려는 '패닉 바잉(Panic Buying)' 수요가 몰린 것이 주된 원인이다.

지난 10일 서울 마포구의 한 부동산에 물건 안내문이 붙어 있다. /사진=뉴시스

지역별로 소위 '한강벨트'를 포함한 주요 지역에서 상승 폭이 두드러졌다. 강북은 성동구(3.01%)가 행당·응봉동 대단지 위주로, 마포구(2.21%)가 아현·공덕동 주요 단지 중심으로 큰 폭으로 상승했다. 용산구(1.75%)와 광진구(1.93%) 등도 강세를 보였다. 강남에서 송파구(2.93%)는 재건축이 진행되는 신천·잠실동 역세권 단지를 중심으로, 강동구(2.28%), 양천구(2.16%) 등 재건축 기대감이 높은 지역에서 오름세가 확대됐다.

매매 시장뿐만 아니라 임대차 시장 역시 강세를 이어갔다. 전세가격의 경우 전국(0.10%→0.18%), 수도권(0.17%→0.30%), 서울(0.30%→0.44%) 및 지방(0.04%→0.07%)은 상승했다.

서울 주택 종합 전세가격 상승률은 0.44%로 전월(0.30%) 대비 상승 폭이 확대됐다. 선호 단지 및 학군지 위주로 전세 수요가 꾸준히 이어지고, 일부 단지에서 매물 부족 현상이 나타나면서 송파구(1.33%), 서초구(0.95%), 강동구(0.89%) 등 강남권 중심으로 강한 오름세가 확인됐다. 서울 월세가격 상승률은 0.53%를 기록하며 전월(0.30%)보다 상승 폭이 더욱 커졌다.

주택유형별 매매가격지수 변동률 /한국부동산원
주택유형별 매매가격지수 변동률 /한국부동산원

부동산원 관계자는 "서울·수도권 주요 단지를 중심으로 상승 계약이 체결되는 가운데, 10·15 대책의 효과는 11월 통계부터 점차 나타날 것으로 예상된다"고 전했다.

지방 아파트값은 하락을 멈췄다. 지방의 주택가격도 9월 -0.03%에서 10월 0.00%로 보합 전환했다. 울산(0.28%)은 남·북구 선호단지 위주로, 세종(0.02%)은 다정·새롬동 정주여건 양호한 단지 위주로 상승했다.

포인트경제 김민철 기자

저작권자 © 포인트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