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최초 디지털 감사로 청렴한 공직문화 구현
회계 투명성 제고 및 교육 재정 확충
AI 일상감사 2.0, 업무 경감 및 효율성 기대
[포인트경제] 경상북도교육청이 7월부터 8월까지 실시한 디지털 감사에서 성공적으로 목표를 달성했다고 16일 밝혔다.

전국 시·도 교육청 중 최초로 AI, 빅데이터 등 첨단 기술을 활용해 사전 예방 중심의 감사 시스템을 구축했다는 점에서 큰 의미를 가진다.
경북교육청은 이번 디지털 감사를 위해 3대 중점 과제인 △시나리오 기반 디지털 감사, △감사 이력 관리 자동화, △AI 일상감사 2.0을 설정했으며, 모든 분야에서 성과를 거뒀다.
특히, 시나리오 기반 디지털 감사에서는 회계, 예산, 재산, 학사 등 10개의 감사 시나리오를 개발했다.
이 중 한 학교에서 공공급식 플랫폼 수수료를 직원 개인 계좌로 이체한 사례를 포착해 조사한 결과, 횡령 목적이 아닌 단순 회계 문란 행위로 확인됐다.
경미한 행위라도 반드시 적발될 수 있다는 점을 보여주며, 경북 교육청의 회계 투명성을 입증하는 계기가 됐다.
또한, 민관 협업을 통해 온라인 포인트 사용 실태를 감사해 3억 원 상당의 미사용 적립금을 찾아내 교육 재정을 확충했다.
이 사례는 민관 협업 데이터를 활용한 감사 시스템의 가능성을 보여주는 최초의 사례로 평가된다.
감사 이력 관리 자동화 분야에서는 지능형 종합감사시스템에 이력을 등록하면 홈페이지에 자동 연계되는 기능을 개선해 업무 효율성을 높였다.
경북교육청은 AI 일상감사 2.0 업그레이드를 추진 중이며, AI가 사업 적정성 심사에 적극 개입해 감사 처리 기간과 업무량을 줄일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경북교육청이 특허 등록한 ‘AI 일상감사’ 시스템은 주요 정책 집행 업무의 적법성 및 타당성을 사전에 심사하는 데 활용된다.
임종식 교육감은 "청렴한 경북 교육을 위해 모든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며 "데이터 활용 방안을 지속적으로 확대해 학교 업무 경감과 감사 사각지대 해소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포인트경제 신현기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