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인트경제] 태광산업은 24일 이사회를 열어 자사주 기초 교환사채 발행 계획을 전면 철회했다고 이날 밝혔다.

태광산업은 교환사채 발행 결정 이후 반대하는 주주를 포함한 다양한 이해관계자들과 소통하며 의견을 청취했다. 또한 지난 5개월 동안 주가가 크게 하락하는 등 교환사채 발행 여건에 상당한 변화가 발생했다. 이에 이해관계자의 의견, 시장 여건 변화, 정부 정책 방향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교환사채 발행을 철회하기로 최종 결정했다.
태광산업은 석유화학·섬유 산업의 구조적 불황으로 실적 악화와 생존 위협에 직면해 있다. 2018년 매출은 3조원을 넘었으나 지난해에는 2조 2122억원으로 감소했다. 영업이익은 2022년부터 적자로 전환됐고, 올해 3분기까지 누적 손실은 2891억원에 달한다.
지속 가능한 생존을 위해 근본적인 사업구조 재편이 불가피하다. 태광산업은 일부 신사업 구상이 지난해 구체적 단계에 도달했고, 올해 남대문 메리어트 호텔과 애경산업 인수 본계약을 체결했다. 앞으로 화장품, 에너지, 부동산, 조선업 등으로 사업 영역을 확대할 계획이다.
신사업 진출과 사업구조 재편에는 막대한 자금이 소요된다. 가동 중단 생산시설 철거와 인력 재배치에도 상당한 자금이 필요하다. 업황 악화에 대비해 3.5개월치 예비운영자금 5600억원도 확보해야 한다.
태광산업은 지난 7월 1조 5000억원 규모 투자 계획을 발표했다. 이 계획에는 교환사채 발행으로 조달하려던 3186억원도 포함됐다. 그러나 자금조달 계획에 일부 차질이 불가피하며 금융시장 여건도 녹록지 않다. 특히 투자 계획이 예정대로 집행될 경우 내년 상반기 예비운영자금 확보가 쉽지 않은 상황이다.
태광산업은 사업 재편과 운영자금 확보에 필요한 자금 마련을 위해 외부 차입 등 다양한 방안을 검토 중이다. 이 과정에서 주주를 포함한 이해관계자와 소통을 강화하고 주주가치 제고와 시장 신뢰 회복에 힘쓸 계획이다.
포인트경제 박주현 기자
